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하나금융연구소(소장 정희수)는 15일 올해 안정과 절세를 추구하는 실속 투자와 해외 금융상품 선호가 두드러질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금융소비자는 실속있는 투자상품과 해외 금융상품 가입에 높은 의향을 보였다. 국내주식보다 해외주식을 선호했고, 가상자산 투자는 5% 미만이긴 하나 2023년보다 신규 거래할 의향이 2배 이상 늘었다. 엔데믹 후 2024년 금융자산은 1억원을 넘었고, 투자상품 비중은 25%(2022년)에서 31%까지 늘었다.
하나금융연구소는 통산 3번째 '대한민국 금융소비자보고서 2025'를 발간하고 이같이 전망했다. 보고서는 최근 3년간 금융소비자의 금융거래 변화를 추적,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20세~64세 금융소비자 5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담았다.
금융소비자는 평균 4.6개 은행을 복수로 거래하면서 여건이 변해도 거래를 유지할 충성 의향은 최근 3년간 지속 감소했다. 시중은행 간 경쟁력에 차이가 있냐는 질문에 '약간 있거나'(45%) '거의 없다'(42%)는 응답이 90%에 가까울 만큼 은행 간 서비스는 균질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3년간 지점 이용 변화도 두드러졌다. 금융거래 시 10명 중 9명은 모바일 채널을 이용한 반면, 영업점 이용률은 최근 3년간 지속 감소하며 31%에 그쳤다. 자동화기기 이용률 또한 2022년(62%)부터 2024년(48%)까지 지속 감소했다. 디지털기술 발전에 따라 영업점이 필요하다는 응답(28%)보다 디지털 채널로 대체 가능하다는 응답(34%)이 우세하지만, 금융거래 시 겪는 애로사항을 보면 '점포·직원 수 감소로 인한 불편'이 2022년 6위에서 2024년 3위로 급상승했다. 보고서는 점포를 대체하는 디지털 채널에 수용도가 높지만 영업점 이용 시 그 의존도는 더욱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노후 준비'에서는 기혼 10가구 중 9가구는 노후 준비가 부족하거나 준비를 못했다고 응답했다. 노후자금이 충분하다고 인식한 나머지 한 가구의 총자산은 18.6억원으로 평균의 2배였다.
보고서는 '라이프이벤트' 결혼과 노후자금에 대한 분석도 내놨다. '결혼' 분야에서 미혼 중 결혼의향자(27%)보다 비의향자(33%)가 더 많은데, 비혼을 선택한 이유는 '개인적 가치관'보다 '경제적 여건' 때문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 내 결혼한 신혼부부는 결혼 비용으로 약 2억원을 썼지만 결혼 예정자는 2억3000만원 가량을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