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에도 내년 상반기 주택가격 상승을 전망하는 시각이 절반을 웃돈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5일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2일까지 전국 1천458명을 대상으로 '2026년 상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한 결과 52%가 내년 상반기 주택 매매가격이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임대차 가격 답변도 상승 전망이 하락 전망과의 격차를 직전 조사 대비 더 벌리며 6~11배(기존 4~8배) 압도했다. 전세 가격은 상승 응답이 57.75%, 하락 응답이 9.26%로 상승 비중이 6.2배 더 많았다. 월세 가격 전망은 상승 응답이 60.91%, 하락 응답이 5.28%로 11.5배 수준을 기록했다.
매매 가격 상승 응답자의 다수는 ‘핵심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35.37%)’을 이유로 선택했다. 현 정부의 6·27대책부터 최근 10·15대책까지 다양한 수요 억제 조치에도 불구하고 서울 주요 아파트와 수도권 핵심 지역 중심으로 신고가 현상이 이어지면서 수요층의 불안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됐다.
다음 이유로는 ‘기준 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12.63%)’을 주요 이유로 선택했다. 서울 등 주요 도심의 공급부족 심화(10.90%), 정부의 주요 규제에 따른 매물잠김(8.91%), 급매물 위주로 실수요층 유입(8.78%), 대출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 영향(6.52%) 등이 뒤를 이었다. 직전 조사와 달리 규제의 반작용에 해당되는 ‘매물잠김’, ‘풍선효과’ 등의 키워드들이 상위권으로 조금씩 올라오는 모양새다.
매매 가격 하락을 전망한 응답자 10명 중 4명은 ‘대출 규제로 매수세 약화(38.16%)’를 이유로 선택했다. 가계부채 관리 목적성이 강한 대출 규제 강화 조치가 정부 대책을 통해 확대되면서 주택담보대출 승인 절차가 매우 까다로워져서다. 그 다음 하락 요인으로 경기 침체 가능성(15.94%), 대출 금리 부담 영향(10.63%), 가격 부담에 따른 수요 감소(8.21%), 투기과열지구 등 규제지역 확대 영향(7.25%) 등이 뒤를 이었다.
전세 가격이 오른다고 응답한 842명 중 34.8%는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 다음으로는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물건 공급 부족(23.75%)’ 의견도 높았다. 임대사업자 자금 유입 축소 조치들로 인해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월세 선호 현상이 강화 중이다. 이어 서울 등 주요 인기 지역의 입주물량 부족(14.73%), 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9.74%) 순으로 나타났다.
하락 전망 응답자는 ‘정부의 전세시장 안정대책 효과(23.70%)’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그 다음으로는 임대인의 임차보증금 반환(역전세) 리스크(20.74%), 전세대출 부담감에 따른 월세시장 이탈(13.33%), 일부 지역의 입주물량 증가(12.59%), 전세보증(보험, 대출) 가입 요건 강화 영향(11.11%) 등이 전세 가격 하락에 대한 주요 이유로 선택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