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올해 3분기 가계 빚이 사상 최대치 행진을 이어갔지만 부동산 규제 등으로 증가폭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68조 3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한다. 2분기 말(1953조 3000억 원)보다 14조 9000억 원 늘었으며 2024년 2분기 이후 6개 분기 연속 증가세다.
정부 대출 규제의 집중 표적이 된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159조6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1조6000억원 증가했다. 역시 2분기(14조4000억원)에 비해 증가 폭이 감소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도 3분기에 3000억원 늘어 증가 폭이 크게 줄었다. 2분기 기타대출은 9조2000억원 늘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주택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이른바 ‘6·27 대책’의 영향으로 대출 증가 폭이 줄었고 같은 대책에서 신용대출을 연 소득 내로 제한해 신용대출도 증가세 또한 약해졌다. 15억원 넘는 주택에 대한 주택 대출 한도를 추가로 줄인 ‘10·15 대책’으로 주택대출 증가폭은 4분기에 추가로 감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타대출은 은행(-8000억원) 및 비은행예금취급기관(저축은행 등, -2000억원)에서 모두 줄었다. 반면 주식 시장 활황으로 ‘빚투(빚내서 투자)’가 늘면서 증권사 등 기타금융중개회사 대출은 3조7000억원 증가했다. 주식 투자 확대로 인한 신용대출 증가세는 4분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한은이 앞서 지난 13일 발표한 ‘10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9월 감소했던 기타대출이 1조4000억원 증가했는데, 주식 투자 수요가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됐다.
신용카드 사용분을 포함한 3분기 판매신용은 전분기 대비 3조원 증가한 123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한은은 “휴가철 신용카드 사용과 지방세(재산세) 납부 수요 증가로 신용카드 이용 규모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2분기 판매신용 증가액은 1조5000억원이었다. 대출과 판매신용을 합친 전체 가계신용은 전분기 대비 14조9000억원 증가한 1968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역시 2분기(25조1000억원 증가)보다 증가 폭이 축소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