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일본이 새해 벽두부터 진도 7도 이상의 대지진과 공항에서 비행기끼리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재난과 사고가 잇달아 일본 여행을 계획한 한국인들이 가야 할지 말아야 할지를 두고 고민에 빠졌다. 일본이 가까운 데다 엔화 약세로 최근 한국에서 일본 관광객이 급증하고 있다. 일본정부 관광국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일본을 찾은 관광객 2233만 명 중 한국인이 618만 명이었다. 이는 국가별 1위다. 한국인 방문객이 전체 방문객의 27.1%를 차지, 대만과 중국을 제치고 1위를 기록한 것. 일본은 한국인에게 가장 인기 있는 관광지인 것이다. 그런 일본에서 새해 첫날 대지진으로, 다음날은 비행기 충돌로 도쿄의 주요 공항인 하네다 공항이 일시 마비됐다. 이번 지진으로 3일 오전 10시 현재 사망자가 62명으로 집계됐으며, 지진 여파로 대규모 화재가 발생한 와지마시에서는 주택 등 약 200동, 총 4000㎡ 면적이 전소했다. 또 가옥 붕괴는 지금까지 확인된 것만 130채가 넘는다. 400명 가까이가 타고 있던 일본항공 탑승객들이 탈출 슈트(슬라이드)를 이용, 전원 탈출한 반면 6명이 탔던 해상보안청 항공기에서는 1명만 탈출에 성공, 5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중국 부동산 시장 연구 조사기관 중즈연구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법원 경매 부동산은 총 70만9천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다. 60만6천 건으로 전년보다 35.7% 증가한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경매 부동산은 주로 베이징과 상하이, 선전, 광저우 등 4대 일선 도시와 각 성(省)의 수부(首府) 도시인 2선 도시들에 집중됐다. 특히 충칭과 쓰촨성 청두의 경매 부동산이 다른 도시들에 비해 많았다. 중국의 부동산 경기 침체에도 꿋꿋하게 고공행진 하던 선전의 집값은 작년부터 하락세로 돌아서 작년 8월에는 2020년 하반기 기록했던 고점 대비 40%가량 떨어진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 때문에 집값 추가 상승을 기대하며 뒤늦게 선전의 부동산을 매입했던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부동산 경매 물량이 계속 증가하는 이유는 경제 회복이 더디고, 부동산 침체가 계속되면서 빚을 내 투자했던 부동산 소유주들이 채무 상환을 할 수 없는 처지에 몰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부동산 시장은 당국이 2020년 하반기부터 부동산 과열을 막기 위해 강력한 규제책을 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