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지방 청년인구 데이터에 드러난 실체
- 데이터 기반 청년인구 정책 혁신적 재검토 해야
- 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맞춤형으로 설계해야 할 때
대한민국은 현재 초저출산과 수도권 집중화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특히 청년인구의 지역 간 불균형은 단순한 인구 이동을 넘어 지역경제 붕괴, 교육·의료 인프라 축소, 지방재정 악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다. 정부는 2024년 '지방시대' 선언과 함께 지역균형발전을 국정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으나, 실효성 있는 청년정책 없이는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최근 지방자치단체의 지역개발정책 수립 업무를 수행하면서, 우리나라 청년인구의 지역별 분포와 정책 현황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볼 기회를 갖게 되었다. □ 데이터로 본 청년인구 위기의 실태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통계(2025년 6월 말 기준)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년인구(19~34세)는 9,761,255명으로 총인구의 19.0%에 불과하다. 이는 OECD 평균 25%를 크게 밑도는 수치로, 급속한 고령화의 단면을 보여준다. 17개 시·도별로 살펴보면 청년인구 비중의 지역 격차가 심각하다. 서울이 23.2%로 가장 높고, 대전 21.4%, 광주 20.2% 순으로 대도시 지역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전남과 경북은 각각 14.9%로 최하위를 기록했고, 경남도 15.4%에 머물러
2025-07-21
고순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