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한국부동산원의 13일 매입자거주지별 아파트 매매거래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해제와 함께 서울 송파구의 외지인 거래가 한 달 사이 2배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송파구의 외지인 아파트매매거래건수는 올해 1월 43건에서 2월 92건으로 2배 넘게 증가했다. 다만 외지인 매수자의 비중은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거래량 급증 속에서도 서울 내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가 존재감을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 같은 기간 외지인 거래의 비중은 21.88%에서 23.65%로 상승했다. 실거래 의무가 해제되고 갭투자가 가능해지면 지방 등 외지인 거래 또한 많이 늘어난 영향이다. 거래가 활성화되며 가격은 자연스레 상승했다. 토허재 해제 후 잠실을 대표하는 아파트단지들인 ‘엘리트’(엘스·리센츠·트리지움)의 국평(전용84㎡) 가격은 지난 2월17일 31억원(리센츠, 5층)을 기록하며 ‘30억’ 돌파 사례가 10건 가까이 발생했다. 이후 3월 1일에는 리센츠 28층이 31억9000만원, 8일에는 잠실엘스가 30억5000만원(22층)에 각각 손바뀜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토허제 재지정 직전인 3월 22일에도 리센츠에서는 30억3000만원(18층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매매 가격 동향에 따르면 4월 첫번째주(1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대비 0.07% 올랐다. 지난해 5월 넷째주 이후 46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해 12월 첫번째 주부터 15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오다 최근 3주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10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서울에서 갭투자 매매가 가장 크게 증가한 지역은 성동구(19건), 마포구(19건), 노원구(19건), 송파구(16건), 영등포구(15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크게 늘어난 성동·마포·노원 모두 서울에서 비교적 인기지역으로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그리고 용산과 다르게 비규제지역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비규제지역은 규제지역에 비해 양도소득세 등 각종 세금이 줄어드는 것은 물론 대출도 용이하다. 갭투자는 전세보증금을 활용해 적은 투자금으로 아파트를 매수해 시세차익을 노리는 투자 방식이다. 매매가격과 전셋가격의 차이가 줄어들수록 갭투자 수요는 증가한다. 실제로 옥수동 옥수아파트 전용 49㎡는 최근 4억9500만원에 실거래된 이후 같은날 2억7000만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사기 등 혐의로 수원시 한 공인중개사 사무실 중개인 A씨 등 62명을 조사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이들은 최근 구속 기소된 부동산 임대업체 대표 정모(60)씨 일가와 공모해 임차인들에게 내줘야 할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고 편취한 혐의를 받는다. 지난해 9월 임차인들의 고소장을 접수하고 수사에 나선 경찰은 정씨 일가뿐 아니라 부동산 관계자 등에 대한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경찰은 지난달 정씨와 그의 아내, 아들 등 일가족을 송치했고, 수원지검 전세사기 전담수사팀(팀장 이정화 형사5부장)은 사기, 감정평가법 위반, 부동산실명법 위반, 업무상 배임 등 혐의로 이들을 구속 기소했다. 이들은 2021년 1월부터 올해 9월까지 일가족 및 임대 업체 법인 명의를 이용해 경기 수원시 일대에서 800세대 가량의 주택을 취득하고 임차인 214명으로부터 전세 보증금 225억 원을 편취한 혐의를 받는다. 정씨 일가는 자본을 들이지 않고 전세자금으로 새로운 주택을 매입하는 이른바 '무자본 갭투자' 방식으로 보유 주택을 늘려나간 것으로 조사됐다. 정씨는 감정평가사인 자신의 아들과 공모해 법인 명의 등으로 소유한 주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