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고순희 기자 |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가 28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제안에 대해 밝힌 입장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불쾌감이 고스란히 담겼다. 정부 핵심과제인 의료개혁에 대해 여당 대표가 내놓은 제안이 국정 철학이나 의지, 노력과 전면 배치된다는 취지다. 파장은 클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김건희 여사 의혹 여론 해석 차이를 두고 충돌했었을 때와 달리 국정 방향에 대한 갈등이 불거진 것이라 당정 간 불화가 예상된다. 윤 대통령은 29일 예정된 기자회견에서도 지난 1년간 추진한 정부의 의료개혁 과정을 국민들 앞에 다시 한번 설명할 계획이다. 한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국가의 임무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어떤 것이 정답인지 그것만 생각하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당이 민심을 전하고, 민심에 맞는 의견을 전달해야 한다"고 했다. 이는 '2026년 의대 증원 유예'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한 발언으로 해석됐다. 한 대표 측은 국민의 의료 불안이 커지는 상황에서 이 방안이 전공의 등을 복귀시킬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대안이라고 보고 있다. 한 대표는 2025학년도 의대 증원은 그대로 시행하되, 2026년도에는 증원을 1년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이날 부산 남구 지원 유세 도중 "의사 증원은 국민의 건강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정책"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방금 대통령께서 의료계 파업 관련 담화를 말씀하셨다"며 "거기에 대해서 집권 여당 대표로서 말씀드리겠다"며 운을 뗐다. 사실상 윤 대통령이 타협안 대신 '의대 증원 2000명' 당초 정책으로 정면 돌파를 택한 데 대한 반응이다. 한 비대위원장은 "저는, 국힘은 증원 숫자를 포함해서 정부가 폭넓게 대화하고 협의해서 조속히 국민을 위한 결론을 내줄 것을 강력하게 요청드렸다"고 공개했다. 자신은 숫자 협상을 요청했었다는 얘기다. 받아들여지지 않은 셈이다. 이어 "다수 국민들은 정말 의사 증원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다"면서도 "하지만 반면에 지금의 상황이 조속히 해결되는 것도 바라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저희는 국민이 원하는 방향대로 정부가 나서주길 바란다"고 피력했다. 그리고 "저희가 읍소한다고 하니 이 대표가 '악어의 눈물'이라고 하던데요. 제가 악어의 눈물이 뭔지 알려드릴까요"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이 대표는 정작 그런 쓰레기 같은 욕설을 한 형수나, 정신병원에 보낸 형님한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