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개정된 모범규준은 증권사와 자산운용사의 준비 기간을 감안해 오는 4월부터 시행된다. 국내 금융투자업자들의 대규모 해외 부동산 손실에 금융감독원이 대체투자 모범규준을 개정한다. 투자심의위원회 구성 요건과 연 1회 이상 사후 관리를 의무화한 게 골자다. 19일 금감원은 “금융사의 리스크 대응 역량 강화와 투자자 신뢰 제고를 위해 현행 모범규준을 개정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규모는 83조7000억원이다. 이 중 일부는 손실이 현실화됐다. A사는 해외 오피스 빌딩에 투자했으나 주요 임차인이 이탈하고 사후 관리 부실로 투자금 대부분을 잃었다. B사는 해외 리조트 개발 사업에 투자했으나 장기간 개발이 지연되면서 전액 손실을 봤다. 이번 모범규준 개정안엔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리스크 관리 조직 설계부터 사후 평가에 이르기까지 대체투자 과정 전반에서 업계 모범 사례가 반영됐다. 개정안이 시행되면 금융사는 투자심의위원회 등 투자 의사결정기구의 의결 정족수와 구성 요건을 합리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대체 투자자산을 투자 형태와 만기 분포, 지역 등으로 세분화해 정기적으로 관리하도록 리스크 관리 체계가 신설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중 부실 우려가 있는 사업장 규모는 2조6천1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6월 말 기준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6조3천억으로 전 분기 대비 7천억원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북미 지역 투자가 35조2천억원(62.5%)으로 가장 많았다. 유럽 10조5천억원(18.6%), 아시아 3조9천억원(7.0%), 기타 및 복수지역 6조7천억원(11.9%) 등 순이었다. 만기별로는 내년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규모가 4조6천억원(8.2%)이었다. 2026년까지가 18조2천억원(32.3%), 2028년까지가 14조8천억원(26.2%), 2030년까지가 5조8천억원(10.3%) 등이었다. 금융권별로는 보험사들의 투자 잔액이 31조2천억원(55.3%)으로 가장 많았다. 은행 11조7천억원(20.7%), 증권 7조8천억원(13.8%), 상호금융 3조6천억원(6.4%), 여전 2조1천억원(3.6%), 저축은행 1천억원(0.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금융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조7천억원 중 2조6천100억원(7.5%)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12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대체투자 컨퍼런스 2024(GAII 2024)에 참여한 글로벌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를 시작으로 부동산 시장에서도 투자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그간 고금리로 부동산의 평가가치가 하락하는 위기를 겪었다. 하지만 캡레이트(Cap Rate·부동산 투자로 얻는 순수익)가 안정화되는 등 투자에 나서기에 매력적인 상황이 돌아왔다고 진단했다. "금리 인하가 시작된 지금, 부동산 투자 적기다. 유럽 주거 시장에서 기회 찾아라."(마디 모크레인 파트리지아 유럽 리서치·전략 대표) 특히 유럽에선 밸류애드(가치 상승)를 추구할 수 있는 주거 시장이 각광받고 있다고 전망했다. 유럽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코리빙(공유주거), 학생 기숙사 등에 대한 투자가 진행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마디 모크레인 파트리지아 유럽 리서치·전략 대표는 "브렉시트 이후 프랑스, 독일에서 수학하는 유학생이 많아졌고 이에 따라 학생 전용 주거시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다"고 말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선 선별적인 투자를 진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미국 교직원연금기금(TIAA) 산하 자산운용사인 누빈자산운용은 최근 광화문 인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