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G(사장 방경만)가 지난 7일 글로벌 3대 신용평가사인 S&P와 무디스의 국제신용등급평가에서 각각 'A-(안정적)', 'A3(안정적)' 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S&P 상위 신용등급인 'A-'는 신용 상태가 양호하고, 신용위험이 크게 낮은 수준을 의미한다. 이는 공기업·금융사 외 국내 대기업 중 최고 수준으로 글로벌 최상위 담배기업과도 동일한 등급이다. 무디스에서 획득한 'A3' 역시 국내 대기업 중 최상위 수준에 해당하며, 이를 통해 KT&G는 우수한 재무안정성을 인정받았다. 글로벌 신용평가 기관들은 KT&G가 담배사업 부문에서 높은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는 등 사업안정성이 우수하다고 판단했으며, 안정적인 이익 창출과 낮은 재무 레버리지 비율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또한, NGP(Next Generation Products, 전자담배) 사업에서 높은 성과를 창출하고 있고, 인삼사업 등 비담배 사업 다각화 측면도 우수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은 KT&G의 글로벌 사업 성장에 주목하며, 인도네시아·카자흐스탄 신공장 구축 등 성장투자가 추진되며 해외사업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앞서, KT&G는 2023년 6월 한국기업평가, 한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8일(현지시간) 무디스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4분기 미국의 주요 도시에서 오피스 공실률은 19.6%에 달해 집계가 시작된 1979년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미국의 사무실이 최소 40년 사이 가장 많이 비어 있는 상황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했다. 수 년간 이어진 오피스 과잉 건설이 가속화한 데다 팬데믹에 따른 업무 행태 변화로 공실률이 더욱 높아졌다. 원격 근무이 오피스 부동산시장을 어떻게 뒤집어 놓았는지를 보여주는 실례다. 하지만 WSJ는 현재 오피스 시장의 불황은 대부분 1980년대에서 시작된 침체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당시 대출을 받기 쉬어 지면서 특히 땅값이 싸고 규제가 덜한 남부에서 오피스 붐이 일었다. 은행은 세입 계약도 없는 투기성 오피스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WSJ는 설명했다. 그 결과 1990년 저축 및 대출 위기로 경제가 불황을 겪으면서 임차인을 구하지 못한 오피스 빌딩이 넘쳐났다. 이러한 공급 과잉은 오늘날까지도 오피스 시장을 압박하며 미국의 공실률을 끌어 올렸다고 WSJ는 지적했다. 무디스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서 오피스 공실률이 가장 높은 3대 도시는 남부의 텍사스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7일 매일경제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즈그룹은 최근 "만기 채무를 상환할 여력이 없고, 채무 상환에 쓸 수 있는 자산도 부족하다"며 베이징 제1중급인민법원에 파산을 신청했다. 이에 법원은 지난 5일 "기업파산법 제2조 1항에 명시된 파산 사유에 부합한다"며 중즈그룹의 파산 신청을 승인했다. 중즈그룹은 중국의 대표적인 '그림자 금융' 기업이다. 그림자 금융은 부유한 개인 투자자와 기업들의 자금을 모아 일반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 없는 회사에 높은 금리로 대출을 해주며 수익을 내는 금융기업이나 상품이다. 최근까지 고위험고수익의 부동산개발에 큰 돈을 투자해왔다. 중국의 그림자 금융은 최대 12조 달러(약 1경 5690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며, 중즈그룹도 부동산개발업체의 자금줄 역할로 한때 자산규모를 1조 위안(약 184조 원)까지 불렸다 하지만 최근 몇년간 헝다그룹 등 중국 굴지의 부동산개발업체들이 잇따라 디폴트에 빠지며 중국 부동산 시장이 오랜 침체의 늪에 빠져들자 중즈그룹 등 그림자 금융도 위기를 맞았다. 중즈그룹의 위기가 수면위로 드러난 것은 지난해 8월 초 중국 대형 부동산개발업체 비구이위안이 디폴트 위기에 빠지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