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서부지방법원에서 발생한 사태와 관련해 다수의 청년이 구금되면서 인권 침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구속된 이들에 대한 적법 절차 준수 여부, 수용 시설 내 처우 등이 논란이 되는 가운데, 시민단체와 법조계에서는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최근 서부지방법원 사건으로 인해 다수의 청년이 구속되거나 구금 상태에 놓였다. 일부 청년들은 경미한 혐의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수용되면서, 형평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법조계에서는 "법의 적용이 공정해야 하지만, 일부 사례에서는 가혹한 조치가 내려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수용 중인 청년들의 법률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특히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변호인을 선임하지 못한 이들이 신속한 법적 대응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공익 변호사 단체들은 무료 법률 지원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구금된 청년들이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다는 증언도 나오고 있다. 일부 수용자는 협소한 공간에서 장기간 머물며 기본적인 생활권이 침해되고 있으며, 의료 지원도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시민단체들은 "미결수의 경우 아직 유죄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
연방타임즈 = 고순희 기자 | 서부지방법원 난동 사태 때 경찰관이 폭행 당한 것과 관련해 경찰 동료들이 폭력 행위자 엄벌과 피해보상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서울경찰직장협의회 대표단은 3일 오전 10시30분께 서울경찰청 정문 앞에서 '공권력 무력화 불법 폭력행위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타인에게 피해를 주고 국가를 병들게 하는 불법과 폭력 앞에 공권력은 엄중하고 단호하게 작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최근 집회 현장에서 발생한 극렬 시위대의 폭력행위는 경찰과 국가기관을 대상으로 벌인 그야말로 테러이자 선동을 통한 소요행위라고 밖에 여겨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더 이상 불법과 폭력으로부터 매 맞는 경찰이고 싶지 않다"며 "폭력 행위자의 처벌과 피해회복 및 평화로운 집회문화 정착을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말했다. 대표단은 경찰청을 향해 엄정한 대처와 수사 확대를 촉구했다. 이들은 "경찰청은 평화로운 집회를 최대한 보호하되 집회·시위 현장에서 발생하는 모든 불법 폭력행위에 엄정하게 대처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