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상민 기자 최근 몇 년간 유튜브가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필수적인 플랫폼으로 자리 잡으면서, '유튜브를 하지 않으면 기회를 놓친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백만을 넘는 구독자가 시청하는 파워유튜버들이 속출하면서 매월 수억대의 수익을 거두고 있다는 소문까지 나면서 새로운 전업 직업군으로 바뀌고 있으며 기업화로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단순한 영상 공유 수준에서 시작해 , 이제는 독자적인 인지도와 채널별 브랜드 구축과 정보제공 교육 마케팅 등 독자적인 분야로 빠르게 분화 발전하면서 수익 창출의 강력한 도구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변화되고 있는 유튜브 플랫폼의 전반적인 현황과 발전 방향을 간략하게 살펴보자. ■ 전 세계 25억 명이 쓰는 플랫폼유튜브는 현재 월간 활성 이용자(MAU)가 25억 명을 넘어서는 세계 최대 동영상 플랫폼이다. 뉴스, 교육, 리뷰, 오락 등 다양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 누구나 크리에이터가 될 수 있다 과거에는 방송을 하기 위해 거대한 장비와 제작비가 필요했지만, 이제는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영상을 제작하고 업로드할 수 있다. 덕분에 일
연방타임즈 = 고순희 기자 | 유튜버 보겸(본명 김보겸)이 침수 피해를 입은 대전 서구 용촌동 정뱅이마을 주민들에게 최대 1억원어치 식품, 가전을 지원해 화제가 되고 있다. 복구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인 정뱅이마을은 과수원과 밭, 집이 모두 침수돼 주민들은 사실상 전 재산을 잃은 상황이 됐다. 정뱅이마을은 지난 10일 오전 4시께 순식간에 들이닥친 급류에 마을로 향하는 길이 모두 물에 잠겨버렸고 27가구에 사는 30여명의 주민이 고립되기도 했다. 홍수 최초 목격자인 마을 이장 부인은 보겸에게 “지붕 여기까지 (물이) 찼다”며 “가구 다 버리고 냉장고도 버리고 수저 한 짝도 안 남기고 다 버린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이에 보겸은 “이걸 보고서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며 마트에서 라면, 음료수, 휴지, 햇반, 과자 등을 전부 주문했다. 마트 직원도 “이걸 전부 다요?”라며 깜짝 놀랐지만 실제로 보겸이 결제하면서 이 많은 물품들을 수해 현장으로 배송했다. 이후 보겸은 삼성프라자에 방문한 뒤 마을 이장 측에 전화해 “세탁기나 에어컨이나 냉장고나 좀 사서 보내드리려고 했는데 혹시 보내면 받으실 수 있을까요?”라고 물었고 상대방은 “어우 잠깐만.. 좋긴 한데”라며 놀라
연방타임즈 = 박순응 기자 | 전 세계적으로 ‘가짜뉴스’에 대한 위험성을 경고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제재가 모호한 유튜브에서 자극적인 제목을 단 낚시성 가짜뉴스가 연예, 정치, 스포츠 등 전방위적으로 범람하고 있어 사회적 논란이 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유튜브가 잘못된 정보 신고 시 이를 삭제하는 가이드라인이 모호한 데다, 정보 삭제가 되지 않을 경우 피해자 구제책이 사실상 전무하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재 유튜브에서는 △성적인 콘텐츠 △폭력적 또는 혐오스러운 콘텐츠 △권리 침해 콘텐츠 △잘못된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신고할 수 있게 한다.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사기성 정보로 큰 피해를 입힐 심각한 위험이 있는 콘텐츠’가 잘못된 정보 신고 대상이다. 담당자가 가이드라인의 위반 여부를 판단한다고 알려졌으나 즉각적인 삭제가 이뤄지지 않고 모호한 가이드라인 탓에 일부 채널이 가짜뉴스를 통해 순식간에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는 등 잘못된 정보가 범람하고 있다는 평가다. 신고에도 불구하고 삭제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 유튜브의 판단에 불복해 소송을 제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구글 본사를 상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