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17일 부동산신탁사 14곳의 지난해 4분기 합산 순손실은 4055억 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부동산신탁사들이 지난해 4분기에 4000억 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별로 한국자산신탁, 대한토지신탁, 하나자산신탁, 신영부동산신탁 등 4곳은 순이익을 기록했다. 반면 신한자산신탁, 무궁화신탁, 교보자산신탁, KB부동산신탁, 대신자산신탁, 코리아신탁, 우리자산신탁, 코람코자산신탁, 한국투자부동산신탁, 한국토지신탁 등 10곳은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신한, 무궁화, 교보, KB, 대신, 코리아 등 6곳은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도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부동산신탁사의 신탁계정 대여금 규모는 7조7000억 원으로 자기자본 대비 131.7%를 기록했다. 차입부채 규모는 3조7000억 원으로 전 분기 말 대비 5000억 원 증가했고, 부채비율은 80.9%로 전 분기 말 대비 69.3% 상승했다. 한국기업평가는 “신탁계정 대여금 관련 대규모 충당금 적립(3387억 원)으로 3102억 원의 영업적자가 발생했고, 부동산펀드 손상차손(한토신)과 소송 관련 충당부채 전입(신한), 지분법 손상차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3일 대한건설협회가 최근 내놓은 ‘2023년도 결산 건설업 경영분석’ 자료에 따르면 종합건설사들의 성장성 및 수익성 지표들이 모두 추락했다. 이번 조사는 1만9500여개 종합건설사 가운데 상장 대기업을 포함해 적정 재무제표를 제출한 1만3351개사를 분석했다. 지난해 국내 종합건설사 3300여곳이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등록된 종합건설사 5개사 가운데 1개사 꼴이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지난해보다 경영환경이 더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며 “종합건설사 조차 갈수록 상황이 나뻐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우선 매출액 증가율이 뚝 떨어졌다. 2021년 6.7%에서 2022년 15.3%를 기록하더니 2023년에는 4.3%에 불과했다. 당기순이익은 더 심각하다. 분석 대상 1만3351개 종합건설사 가운데 25.0%인 3338개사가 적자를 기록했다. 5개사 가운데 1개사가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것이다. 종합건설사들의 매출 원가율은 이미 지난해에 90%대에 올라섰다. 2017~2022년에는 87~88%대를 기록했으나 2023년에는 90.1%를 보인 것이다. 대형 건설사 한 임원은 “원가율 90%는 이제 대형사 등 특정 업체만의 문제가
연방타임즈 = 박순응 기자 |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이 668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95.2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7일 공시했다. 삼성전자는 1분기(6402억원)에 이어 2분기에도 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대 이하로 주저앉았다. 매출은 60조55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2.28% 감소했다. 순이익은 1조7236억원으로 84.47% 줄었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디바이스솔루션) 부문 매출은 14조7300억원, 영업손실은 4조3600억원을 기록했다. DS부문은 삼성전자 영업이익의 60∼70%를 차지한다. 적자 규모는 1분기(-4조5800원)보다 1800억원 가량 줄어들었다. 이와 관련 삼성전자 측은 “메모리 반도체는 DDR5와 고대역폭메모리(HBM) 중심으로 인공지능(AI)용 수요 강세에 대응해 D램 출하량이 지난 분기에 예상한 가이던스를 웃돌며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시스템 LSI는 모바일용 부품 수요 회복이 지연되고 고객사 재고 조정으로 실적 개선이 부진했다. 파운드리는 글로벌 경기 침체로 모바일 등 주요 응용처 수요가 약세를 보인 가운데 라인 가동률이 하락해 이익이 감소했다. 스마트폰과 가전사업을 담당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