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경매로 주택을 매수하면 토지거래허가구역 관련 규제를 적용받지 않아 ‘틈새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어서 지난달 24일부터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재지정되면서 경매시장에서 4개구 아파트를 낙찰받기 위한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1일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국민평형(전용면적 84㎡)은 감정가(51억)의 100.59%인 51억2999만원에 낙찰됐다. 지난해 8월 경매가 개시된 이 주택은 감정가 51억원에 책정됐다. 지난 2월 1차 매각기일에서 새 주인을 찾지 못하면서 최저입찰가가 감정가의 80%인 40억8000만원까지 떨어졌다. 1위 입찰가격은 감정가(51억원)보다 2999만원 높은 51억2999만원이었다. 2위 응찰자가 써낸 가격은 50억3881만원으로 최고가 매수인에게 1억원 차이로 밀려 경매 물건을 낙찰받지 못했다. 3위 응찰자는 50억2600만원을 제시했다. 이들 모두 최저입찰가(40억8000만원)보다 10억원 높은 가격을 써냈다. 아크로리버파크 전용면적 84㎡의 최고가는 작년 10월에 거래된 54억8000만원(13층)이다.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19일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12월에 전국 24곳에서 2만516가구가 공급 예정이다. 이 중 일반분양 분은 1만5370가구다. 수도권에서 나오는 일반분양분이 7267가구다. 특히 그동안 공급이 적었던 중랑, 성북 등의 물량이 많다. 정부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제도 개선으로 내년 분양시장 공급 위축이 예상되면서 올해 연말까지 예정된 분양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권일 부동산인포 팀장은 "PF시장이 안정되기까지는 적잖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어 불안정한 주택공급 상황 역시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연내 분양에 나서는 물량들은 사업성이 있어서 가능한 곳으로 보유 가치가 있다는 의미라 관심을 가져 볼만 하다"라고 말했다. 롯데건설은 서울시 성북구 삼선5구역 재개발을 통해 짓는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의 견본주택을 11월 말 오픈하고 12월 청약을 받는다. 총 1223가구의 대단지로 이중 전용면적 59·84㎡ 509가구를 일반분양한다. 서울 중랑구 상봉역 일대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상봉터미널 재개발(상봉9구역)로 '더샵 퍼스트월드 서울'을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8층~지상 49층 규모로 공동주택 999가구와 오피스텔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6일 파이낸셜뉴스가 부동산R114에 의뢰해 2000년부터 2026년까지 입주(예정) 아파트의 평형별 비중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전국의 경우 2000년부터 2009년에 전용 85㎡ 초과 비중은 20.1%이다. 당시만 해도 10채 중 2채가 대형으로 구성됐다. 이후 2010년~2019년에는 14.0%로 줄었고, 2020년~2026년에는 7.8%까지 감소했다. 이제는 10채 중 1채 수준으로 줄어든 셈이다. 반면 전용 85㎡ 이하 비중은 이 기간 79.9%(2000년~2009년)에서 86.6%(2010년~2019년)로 늘었고, 2020년~2026년에는 92.0%까지 증가했다. 통계를 보면 전용 85㎡ 이하 중소형 비중은 매해 늘면서 어느새 지역 구분 없이 공급물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여경희 부동산R114 연구원은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소형 아파트 수요가 늘면서 최근 들어 공급 물량간 불균형도 심해지고 있다"며 "이에 따른 주택시장 변화도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공급 불균형은 매매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0년과 2021년 가격 상승기에는 전 평형대에서 비슷한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