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지난 20년간 전국 아파트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시기는 2006년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6월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시장의 관망세가 짙어지는 가운데 21일 부동산R114는 시세 조사를 시작한 2000년부터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연간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가장 크게 뛰었던 시기는 2006년(26.76%)으로 조사됐고 하락 폭이 컸던 시기는 2022년(-4.77%)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난 20년 간의 집값은 정부의 정책, 금리, 금융 규제 등 다양한 요인들과 함께 등락을 거듭해 왔다. IMF 외환위기 후 경기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이 경제 회복세와 맞물리며 2000년대 초 집값은 큰 폭으로 상승했다. 노무현 정부는 집값 안정을 위해 분양권 전매 제한과 투기과열지구 확대 등 대책을 발표했지만, 이러한 규제가 오히려 시장 불안 심리를 자극해 가격 상승의 도화선이 된 것으로 부동산R114는 평가했다. 특히 2006년에는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전년 대비 33.17% 폭등했는데, 이는 강남 재건축 기대감과 수요 급증, 공급 지연 등이 작용한 결과로 풀이됐다.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집값은 상승세로 전환됐고, 거래량은 급증했으며 매물 감소와 함께 경매시장까지 뜨거워지는 모습이다. 1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달 조기 대선을 앞두고 대통령실·국회 세종 이전 공약이 쏟아지면서 세종 부동산 시장이 정치 변수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이달 10일까지 신고된 4월 세종시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129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3월 거래량(784건)을 이미 500건 넘게 앞지른 수치이며, 1월(305건) 대비 4배 이상 급증한 것이다. 가격도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통계에 따르면 세종시 아파트값은 4월 둘째 주 0.04% 상승 전환 후 셋째 주 0.23%, 넷째 주 0.49%, 5월 첫째 주 0.40%로 오름폭이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이후 1년 5개월 만의 회복세다. 대선 일정이 확정되고 주요 정당들이 대통령 집무실 및 국회 이전, 행정수도 개헌 등 공약을 내놓으면서 매수 심리가 자극된 것으로 풀이된다. 거래가 늘면서 매물도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세종시 아파트 매물은 한 달 전 7137건에서 이달 6270건으로 12.2% 감소했다.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올해 상반기 부동산 시장은 연초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던 서울 아파트 값의 오름세도 둔화된 모습으로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뒤로 밀리고 조기 대선 일정에 따라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분양 시장도 대선이 끝나고 올해 상반기 내 남은 기간에도 한산한 분위기가 지속될 전망이고 하반기를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청약 물량을 쏟아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1일 전국 아파트 값은 4월 2주(14일 기준) 0.01% 하락하며 4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나갔다. 지난 2월 서울시에서 잠실·삼성·대치·청담동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을 푼 이후 서울을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들썩였으나 부동산 시장 과열을 막기 위한 조치로 지난달 24일부터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에 토허제가 확대 재지정되고 나서 가격 상승세는 한 풀 꺾였다. 실제로 서울 아파트값은 3월 3주(17일 기준) 0.25%의 상승 폭을 기록한 이후 4월 2주 0.08% 오르는 데 그치며 그 폭이 축소됐다. 미국발 강력한 관세 정책에도 원달러 환율이 1410원대에서 1480원대를 오가며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는 데다가 금리 인하 시 가계대출 증가 및 부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