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연예 · 스포츠 경주서 하수관로 설치하려다.....몽골 침입에 숨겼던 불교 유물 무더기 발굴
연방타임즈 = 고순희 기자 몽골 침입에 숨겼던 불교 유물.......경주서 무더기 발굴 신라 최초의 절로 알려진 흥륜사 터 부근에서 ‘영묘사(靈廟寺)’라고 적힌 기와 조각과 고려 시대의 불교 공양구 등 철제 솥 유물이 무더기로 발굴됐다. 5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흥륜사에서 서쪽으로 약 22m 떨어진 곳에서 통일신라~고려 시대의 건물지, 담장지, 우물 등이 확인됐다. 지난달 경주시와 춘추문화재연구원은 하수관로 설치 공사를 위해 일대를 발굴 조사하는 과정에서 사찰 관련 유적으로 추정되는 건물터와 담장 터, 우물 등을 발견했다. 이 곳에서 지름 약 65cm, 높이 62cm의 대형 철 솥 안에 청동 향로, 촛대, 금강저(金剛杵·방망이처럼 생긴 불교 의식 용구) 등 청동 공양구 54점이 함께 발견됐다. 현재 확인된 유물만 54점으로, 일부는 솥 바닥에도 붙어있는 등 1~2년간 보존 처리와 추가 조사를 거치면 유물이 추가로 발굴될 가능성도 있다. 문화재청은 이 유물이 몽골군의 침략이나 화재, 사고 등에 대비하기 위해 한곳에 모아 땅에 묻어둔 퇴장(退藏) 유물로 추정하고 있다. 또 흥륜사는 사적 '경주 흥륜사지(興輪寺址)'로 지정돼있으나 앞서 '영묘사'가 적힌 기와가 인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