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미국의 AP 통신 및 CNN이 6일 오전 5시34분(한국시각 오후 7시34분)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대통령 당선' 확실을 선언한 직후 뉴욕 타임스, 워싱턴 포스트 및 월스트리트저널 지 등이 모두 트럼프 후보의 대통령 당선을 긴급히 알렸다. AP와 CNN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위스콘신 주를 승리해 선거인단 수를 277명으로 늘려 당선에 필요한 최저선 270명을 넘어서자 '당선' 확실을 선언했다. 트럼프의 당선 확정 소식은 선거인단 10명인 위스콘신주에서도 민주당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에 앞서는 개표 결과가 굳어지면서 나왔다. 현재까지 해리스가 확보한 선거인단은 224명이다. 당선이 확실해지자 트럼프는 지지자들이 집결한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 컨벤션센터 연단에 올라 승리를 선언하며 “모든 유권자를 위한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다. 수도 워싱턴 모교 하워드대에서 지지자들과 함께 개표를 지켜본 해리스는 날이 새면 연설할 것이라고 캠프가 밝혔다. 트럼프의 승리는 인플레이션(고물가), 불법 이민 급증 등 조 바이든 행정부의 실책에 불만을 품은 유권자가 결집했기 때문이다. 또 여론조사는 박빙이었지만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 '샤이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미국 부통령 후보들은 각기 다른 방법으로 미국의 높은 주택가격을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러닝메이트인 팀 월즈 미네소타주지사는 300만개의 주택을 추가를 건설하고 집을 처음 사는 사람에게 최대 2만 5000달러의 계약금을 지원하겠다는 해리스 부통령의 공약을 제시했다. CNN은 “경제학자들은 해리스 부통령의 공약이 주택가격을 상승하는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물가상승률이 2%대 안정세로 접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주택가격은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달 26일 발표된 S&P 코어로직의 케이스쉴러지수에 따르면 7월 연간 주택 가격 상승률이 5%를 기록했다. S&P는 “주택가격 지수는 14달 연속해서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러닝메이트인 J.D 밴스 공화당 상원의원은 1일(현지시간) CBS에서 열린 토론에서 높은 주택가격의 원인을 “2500만명의 불법체류자들이 미국인과 주택을 놓고 경쟁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들을 쫓아내고 연방정부 소유 토지에 주택을 짓는 것이 주택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밴스 의원은 또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민주당 대선 후보로 유력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공화당 부통령 후보인 JD 밴스 의원의 아내 우샤 밴스 등 미국 정계에서 인도계 엘리트가 급부상하고 있다. 첨단 컴퓨터 테크놀리지 분야는 일찍부터 인도계가 휩쓸면서 ‘실리콘밸리는 인도계가 장악했다’는 말이 나왔는데 정계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며 미국사회를 좌지우지하는 핵심 집단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이 최근 보도했다. 영어 구사 능력과 높은 교육 수준, 백인 주류 사회와의 네트워킹 노력 등이 이를 가능케 한 것으로 분석된다. 바이든 대통령의 대체 후보로 유력한 해리스 부통령은 흑인·인도계 출신이다. 부친은 아프리카계 자메이카 이민자 출신으로 스탠퍼드대학 경제학 교수였고, 모친 샤말라 고팔란은 인도 출신 암 연구 과학자였다. 7세 때 부모님의 이혼으로 여동생과 함께 어머니 손에 크면서 모친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고 알려진다. 해리스 부통령은 샌프란시스코 검사장과 캘리포니아주 법무장관 등을 거쳐 2017년 캘리포니아주 연방 상원의원으로 선출되며 정계에 진출했고, 2020년 대선 때 민주당 후보 경선에 도전장을 던지다가 포기한 뒤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