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금융지주들은 지난해 12월 계엄령 사태 발생 직후 원·달러환율이 치솟을 가능성을 염두해 시나리오별 컨딘전시 플랜을 세워뒀다. 원·달러 환율이 2009년 금융위기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자 4대 금융지주가 컨틴전시 플랜(비상대응계획) 가동을 검토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500원대에 진입하거나 분기말에 맞춰 건전성 관리가 어려울 수준으로 가기 전에 비상 경영 체제에 돌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는 3일 국내 정국 불안에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까지 부과되면서 원·달러 환율이 요동치면서 지난해 말 세워둔 컨티전시 플랜을 검토 중이다. 지난해 KB금융지주는 내부적으로 환율이 1500원에 육박하는 시나리오를 마련해 올해 경영 계획을 점검했다. 신한금융지주도 지난해말 올해 환율 전망치를 수정하고 경영계획에 반영했다. 하나금융지주와 우리금융지주 역시 강달러 환경이 지속될 경우를 염두해 대응계획을 준비했다. 당시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대내외 환경 변화 시 유동성과 건전성, 자본적정성 지표 관리가 가장 중요하다"며 "현재의 위기 상황에 당분간 비상 경영체제에 준해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국내 4대 금융지주사가 지난 한 해 16조원이 넘는 순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증가세가 지속된데다, 예대금리차에 따른 이자이익 확대 등으로 역대급 실적을 낸 것으로 분석됐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연간 순이익은 총 16조4196억원이었다. 전년(14조8908억원) 대비 1조5288억원(10.3%) 증가했다. 종전 최대인 2022년(15조4904억원)과 비교해도 9292억원(6%) 늘었다. 금융사들이 역대급 순익을 낸 것은 이자이익이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하반기 한국은행이 두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3.50%에서 3.00%로 인하했지만, 금융사들이 가산금리를 올려잡으면서 큰 폭의 순이자마진(NIM) 하락이 제한됐다. 이런 가운데 대출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이자이익을 끌어올렸다. 이에 지난해 4대 금융사의 총 이자이익은 41조8760억원에 달했다. 비이자이익이 늘어난 점도 영향을 줬다. 유가증권 이익이 개선된데다 WM(자산관리) 성장에 따른 금융상품 판매 수수료 등도 증가한 덕분이다. 지난해 4대 금융의 비이자이익 규모는 10조9390억원으로 2023년(10조4947억원)보다 4443억원(4.2%)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에 상장된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의 지난 17일 장 마감 기준 외국인 지분율이 평균 62.7%로 집계됐다. 특히 KB금융은 외국인 지분율이 80%를 목전에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지분율 62.7%는 지난 2019년 2월 우리금융의 상장일 당시 평균 지분율인 58.2% 이후 5년3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로, 올해 들어서 3.1%p가 상승했다. 금융지주별로 살펴보면, KB금융은 76.8%로 4대 금융지주 중 가장 높은 외국인 지분율을 보였다. KB금융의 지난해 말 외국인 지분율은 72.0%로, 올해 들어 5%P가까이 상승했다. 지난 13일에는 외국인 지분율이 77.0%까지 상승한 KB금융의 외국인 지분율은 지난 2008년 10월 증시 상장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기도 했다. 신한금융은 61.2%, 하나금융은 70.1%, 우리금융은 42.5%의 외국인 지분율을 나타냈으며, 모두 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KB금융은 지난 13일 77.0%로, 증시 상장일인 2008년 10월 10일 이후 가장 높은 외국인 지분율을 기록했다. 우리금융의 경우 17일 기준 외국인 지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