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21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트리아논 빌딩에 투자한 펀드 ‘이지스글로벌부동산투자신탁229호’의 이날 기준 최근 1년 수익률은 A클래스가 –81.98%, C클래스가 –81.93%로 집계됐다. 미국 뉴욕 빌딩에 투자한 ‘한국투자뉴욕오피스부동산투자신탁1호’와 ‘미래에셋맵스미국부동산투자신탁11호’ 수익률도 각각 –31.76%, -34.19%를 기록 중이다. 업계 손실 인식도 본격화하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금융 등 5대 금융그룹 해외 부동산 투자·대출은 782건으로, 전체 원금은 20조3868억 원에 달한다. 이중 업권 별 익스포저는 계열 은행이 7조5333억 원으로 가장 많다. 증권사(3조5839억 원), 생명보험사(2조7674억 원), 손해보험사(1조6870억 원) 등도 그 뒤를 이었다. 문제는 해외 대체투자에 일반 투자자 자금도 들어가 있다는 점이다. 은행과 증권사 등은 해외 부동산을 기초자산으로 삼는 펀드 1조163억 원어치를 기관과 개인에 팔았다. 이 가운데 4066억 원 만기가 올해 도래한다. 업계는 펀드 만기 늘리기에 나섰지만, 연장이 불발되면 해외 부동산 시장이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18일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실을 통해 입수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5대 금융그룹(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해외 부동산 투자는 총 782건으로, 전체 원금은 20조3868억원 수준이다. 고객 판매분과는 별도의 고유계정 투자로 이들 회사의 실적에 직접 영향을 주는 투자다.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내고도 대규모 대손충당금 적립으로 전년과 비슷한 규모의 실적을 신고한 5대금융의 해외 부동산 투자 손실액이 1조를 넘어서며 우려를 키우고 있다. 코로나19 시기 자리를 잡은 재택근무의 영향으로 상업용 부동산 공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서 올해 손실이 확대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5대 금융은 전체 20조3868억원 중 대출 채권을 제외하고 수익증권과 펀드 등 512건의 투자를 통해 총 10조4446억원을 투입했다. 이 투자 규모는 KB금융(2조8039억원), 신한금융(2조7797억원), 하나금융(2조6161억원), 농협금융(1조8144억원, 우리금융이(4305억원) 등의 순으로 우리금융이 타 금융그룹 대비 규모가 작았다. 투자한 10조4446억원 중 현재 잔여 평가 가치는 총 9조3444억원으로, 원금보다 1조1002억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