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고순희 기자 | 2025년 5월,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면서 정치권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차기 주자들의 향방에 쏠리고 있다. 여론조사에 응하지 않는 유권자들 사이에서도 “누가 유리한가”를 둘러싼 분석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치 관측자들과 인공지능 기반 분석에서는 김문수 후보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흐름을 타고 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 김문수 후보, 미담과 이미지로 지지 확대보수진영의 대선 주자로 나선 김문수 후보는 최근 배우자 설난영 여사와 함께 보여주는 ‘감동적 동행 스토리’로 유권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노동운동가 출신 보수 정치인이라는 이력도 과거 이념 구도를 넘나드는 유연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데 일조하고 있다. 설 여사의 꾸준한 내조와 현장 중심의 활동은 특히 중장년층과 여성 유권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정치권 관계자는 “김문수 후보의 진정성 있는 이미지가 반사적으로 비호감 피로도를 높인 기존 정치인들과 대비되며 지지를 넓히고 있다”고 말했다. ■ 이재명 후보, 고정 지지층 외 확장성에 과제반면, 이재명 후보는 여전히 강한 고정 지지층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배우자 관련 논란과 언행에 대한
연방타임즈 = 신경원 기자 |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하며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를 핵심 비전으로 내세웠다. 노동운동가 출신이라는 상징성과 함께 실용적 보수 정치를 표방하며, 경제·복지·부동산·정치개혁 등 전방위적 공약을 공개했다. 김 전 장관은 “지금 대한민국에는 노동 중심의 실물경제 회복이 절실하다”며 자신이 노동자이자 행정가로서 쌓아온 경험이 위기를 돌파할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노동과 경제, 두 축 중심의 실용노선 김 후보는 노동시장 유연화와 동시에 노동자 보호 장치를 강화하는 ‘균형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지원을 위한 세제 감면, 금융 보완책도 함께 언급됐다. 또한 지방 산업 재배치와 특화산업 육성으로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부동산 정책은 실수요자 중심으로 실수요자 보호를 위한 청약 제도 개편과 함께 1인 가구·청년층을 위한 공공주택 공급 확대가 주요 공약으로 제시됐다. 장기 거주자, 고령자 등 취약 계층을 위한 주거복지도 강화 방향을 명시했다. 조세 정책, 납세자 권익 강조 보편적 증세보다는 예산 구조 개혁을 통해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고, 중산층과 서민의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