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금융당국이 롯데카드의 고객정보 대량 유출사태와 관련해 '일벌백계'를 천명했다. 롯데카드는 이번 해킹으로 297만명에 달하는 고객 정보를 유출했으며, 이 중 28만명은 카드 부정 사용에 악용될 수 있는 민감 정보까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롯데카드의 위규 사항을 철저히 조사해 최대 수준의 제재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은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등과 함께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현재 사태 전반에 대한 면밀한 검사가 진행 중에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권 부의장은 "금융보안·정보보호는 작은 부주의 만으로도 막대한 소비자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중대한 문제"라며 "개인 신용정보 관리 및 정보보안 등 관련 위규 사항에 관해 금융감독원 조사를 바탕으로 낱낱이 파악해 엄정히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또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전 금융권의 보안 실태를 점검하고, 중대한 보안 사고 발생 시 징벌적 과징금 도입과 이행 강제금 부과 등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롯데카드 해킹사태로 유출된 데이터는 약 200기가바이트(GB)에 달하며, 전체 회원 960만명 중 약 30%에 해
연방타임즈 = 신경원 기자 | 밸류업 우수 기업엔 감리·제재 인센티브를 부여할 수 있는 근거도 마련하고 금융당국이 상장사들의 주기적 지정과 직권 지정 중복 부담을 완화한다. 주기적 지정 감사를 받는 3년 중 직권 지정 사유가 추가로 발생하더라도 지정 기간을 연장하거나 감사인을 추가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15알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외부감사규정)' 일부개정안 규정변경예고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외부감사규정 개정안은 28일까지 규정변경 예고를 거쳐 증권선물위원회 및 금융위원회 심의의결을 통해 확정·시행될 예정이다. 이번 개정안은 지난해 12월 발표한 '회계·감사 지배구조 우수기업 지정유예 방안'의 후속조치로서 지정유예 근거 및 유예대상 평가 기준 등을 반영했다. 지난해 12월 금융당국은 회계·감사 관련 지배구조 우수 기업들에 한해 주기적 지정을 3년 간 유예해주기로 했다. 주기적 지정제는 기업이 6년 간 외부감사인을 자유 선임한 이후 감사 독립성을 지키기 위해 3년 간은 금융당국이 지정한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도록 하는 제도다. 개정안은 주기적 지정 유예를 위해 회계·감사 지배구조에 관한 5대 평가 분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