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방타임즈 = 최민주 기자 |
현대카드의 애플페이 서비스가 초기 흥행몰이에 성공했지만, 애플페이를 제외한 애플의 금융서비스 애플캐시와 애플카드, 애플페이레이터(Apple Pay Later), 애플통장 등은 단기적으로 국내시장 진출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8일 '애플사(社)의 금융업 진출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애플을 비롯한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국내 금융업 진출이 본격화되면 빅테크에 대한 규제 강화 요구는 증대되고 국내 은행권의 금산분리 규제 완화 목소리가 커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선, 애플페이를 제외한 나머지 애플 금융서비스는 미국 내에서만 서비스 중이며 다른 국가 진출 계획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애플이 애플페이 외 나머지 금융서비스로 국내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국내 법·제도적 문제가 먼저 해결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애플통장의 경우 금융위의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절차가 필요하다. 통장계좌 발급 제한, 지정기간 등의 여러 제약조건 아래에서만 영업활동이 가능하다. 애플페이레이터(후불 결제 서비스) 역시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여전법상 신용카드업 허가 면제)이 필요하다.
네이버페이와 카카페이와 비슷한 애플캐시는 국내 진출 시 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업자를 등록해야 한다. 애플캐시의 경우 이미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빅테크 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만큼 이들 기업과의 경쟁도 예상된다.
반면, 애플카드의 경우 국내에 이미 다양한 상업자표시신용카드(PLCC)가 보급돼 있고, 신용카드와 결합한 애플페이 서비스도 시작됐기 때문에, 국내 카드발급사와 제휴하면 언제든 시장 진출이 가능하다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