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6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조사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값은 11주 연속 하락했지만, 서울 아파트값은 5주 만에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2% 소폭 상승했다. 이번 주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은 설명절 기간 미공표로 지난달 20일 대비 2주간의 변동률을 반영하고 있다. 서울 내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강동·노원(-0.03%), 강북·은평·구로·금천·동작(-0.01%) 7곳이 하락했고, 나머지는 보합세를 유지하거나 상승했다. 노원구는 상계·중계동 구축 위주로, 은평구는 증산·구산동 위주로 내림세를 나타냈다. 강동구 둔촌·성내동과 동작구 흑석·상도동도 마찬가지로 하락 곡선을 그렸다. 반면 용산구 이촌·한남동, 마포구 도화·염리동, 광진구 광장·자양동, 송파구 잠실·신천동, 서초구 서초·잠원동 재건축 단지, 양천구 목동과 신정동은 집값이 올랐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0.04% 하락하며 전기(-0.05%) 대비 낙폭이 축소됐다. 그 외 수도권(-0.03%→-0.02%)과 지방(-0.07%→-0.06%) 모두 하락폭 축소됐다. 5대광역시(-0.08%→-0.08%)는 하락폭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최근 몇 달 새 대출규제가 강화되며 부동산 시장의 관망세가 짙어지는 가운데, 서울 아파트 매물량이 처음으로 9만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거래량이 주춤하며 매물 적체 현상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21일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전날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 매물량은 9만274건으로 집계됐다. 아실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21년 11월 이후 가장 많았다. 석 달 전(7만8000건대)과 비교하면 약 16% 늘어난 것이다. 2021년 4만건대였던 서울 아파트 매물은 2022년 5만건대, 지난해 7만건대를 돌파한 후 올해 상반기 8만건대까지 쌓였다. 하반기 들어 7만건대 후반까지 줄어들었던 매물량은 9월 들어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 같이 매매시장에 매물이 쌓이는 건 지난 9월부터 시행된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와 더불어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가산금리 인상 등 자금조달 문턱이 높아진 영향이다. 이로 인해 실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지속돼 거래가 줄어들고 매물만 쌓여가는 모습이다. 서울 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이날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3465건으로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