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이 정부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6·27 부동산 대책’ 여파로 강남권을 중심으로 3주 연속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둘째 주(지난 14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1주일 전보다 0.19% 올랐다. 지난주(0.29%)보다 상승 폭이 축소됐다. 올해 들어 집값이 급등했던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마포구·성동구 등 선호 지역 오름폭이 일제히 줄었다.
강남 3구를 포함한 동남권 상승세 둔화가 두드러졌다. 강남구가 전주 0.34%에서 0.15%로 오름폭이 크게 줄었다. 서초구(0.48%→0.32%), 송파구(0.38%→0.36%) 모두 폭등세가 가라앉는 분위기다. 강동구(0.29%→0.22%)도 같은 흐름을 나타냈다.
한강 벨트 주요 지역의 오름폭도 일제히 줄었다. 용산구가 지난주 0.37%에서 0.26%로 상승 폭이 줄었고, 마포구(0.60%→0.24%)와 성동구(0.70%→0.45%) 등 둔화 추세가 이어졌다. 영등포구(0.45%→0.26%)도 일주일 만에 상승 폭이 축소돼 대출 규제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기도에서도 집값 과열 양상을 보였던 성남시 분당구가 0.46%에서 0.40%로 상승 폭이 급감했다. 과천시도 0.47%에서 0.39%로 오름폭이 다소 꺾이며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전국 기준으로는 0.02% 상승해 전주(0.04%) 대비 오름폭이 0.02%포인트 축소됐다. 수도권 가격 변동 폭은 전주 0.11%에서 0.07%로 상승세가 둔화했다. 서울(0.19%)과 경기(0.03%)는 상승했으나 인천(-0.03%)은 3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