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정부의 6·27 고강도 대출 규제에서 제외되고, 스트레스 DS실거래가 상위 10곳 5대 광역시 포함 매수우위지수 3개월 연속 상승(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3단계 적용도 연말까지 유예되면서 지방 부동산 시장이 다시 들썩이고 있다. 부산, 대구, 광주 등 5대 광역시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실거래가가 오르며 반등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6일 부동산 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최근(7월 28일~8월 3일) 조사에서 부산 ‘해운대 경동리인뷰 1차’ 전용면적 84㎡는 최근 10억7000만원에 거래돼 직전 거래 대비 1억500만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 북구 ‘운암 롯데캐슬’ 전용면적 122㎡은 직전 거래대비 7200만원 오른 4억 6500만원에 손바뀜됐다. 대구 남구 ‘교대역 하늘채 뉴센트원’ 전용면적 84㎡는 5억9700만원에 거래돼 직전보다 9700만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KB부동산이 집을 팔려는 사람 혹은 집을 사려는 사람이 많은지를 조사해 발표하는 매수우위지수를 보면 5대 광역시(부산·울산·대구·광주·대전) 매수 심리는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5월 16.33에서 6월 21.35, 7월 21.77로 3개월 연속 상승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올해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에서 유의(C) 또는 부실우려(D) 등급을 받은 부실 PF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22조9000억원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체 부동산 PF 익스포저 210조9000억원의 10.9% 수준이다. 지방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중심으로 추가 부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한국은행 경고가 나왔다. 비수도권에 미분양 주택이 쌓여 있는 상황에서 최근 아파트 초기 분양률이 저조하고 부동산 시장 부진으로 인허가 등이 지연될 가능성까지 커지고 있어 프로젝트 부실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업권별로는 ▷상호금융 10조9000억원 ▷저축은행 4조4000억원 ▷증권 3조8000억원 ▷여신전문금융 2조7000억원 ▷보험 7000억원 ▷은행 4000억원 등으로 비은행권에 부실이 집중돼 있다. 사업 초기 토지를 담보로 대출하는 토담대가 제2금융권에서 취급돼 온 영향으로 풀이된다. 유형별로 보면 토지담보대출이 13조5000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브릿지론 4조8000억원 ▷본PF 4조5000억원 순이었다. 사업 초기 단계에서 부실 PF가 주로 발생한 것
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2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최근 비수도권에서는 아파트 전세수급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실수요 선호도가 높은 대단지에서 이러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창원, 울산등 몇몇 지방을 중심으로 아파트 전세 '품귀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유니시티는 인접 4개 단지 총 6100가구의 전세 매물은 10건이다. 이마저도 인근 공인중개사들은 실제 거래가 가능한 전세 매물인지 확인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의 대표 단지 중 하나인 남구 신정동 문수로2차아이파크1단지는 597가구가 거주하고 있지만, 현재 시장에 나온 전세매물은 전용 110㎡(43평) 한개로 파악됐다. 전세 물량이 줄면서 전셋값은 뛰고 있다. 울산 남구와 창원 의창구 아파트 전셋값은 각각 10주, 15주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10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4000가구로, 전월보다 19.2% 감소했다. 하지만 지방 주택 매매는 3만1568가구로, 전월보다 24.1% 늘었다. 이에 힘입어 10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5만6579건)은 전월 대비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