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당근마켓에 허위 부동산 매물을 올려 수 억원의 계약금을 가로챈 부동산 사기단이 검찰에 넘겨졌다.
서울 마포경찰서는 22일 30대 남성 ㄱ씨와 ㄴ씨를 사기·사기 미수 등의 혐의로 지난 7일 검거한 뒤 16일 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당근마켓에 허위 매물을 광고하고, 임장을 원하는 피해자들에게 출입문 비밀번호를 알려주며 둘러보게 한 뒤 계약금을 입금받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 특히 ㄱ씨는 성폭력 처벌법 위반 혐의도 받는데, 범행 과정에서 사기임을 알아챈 피해자(1명)가 피해 금액을 돌려달라고 하자 피해자 얼굴을 성착취물에 합성해 배포하겠다며 협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 설명을 들어보면, 이들은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텔레그램 단체대화방을 통해 윗선으로부터 부동산 매물의 주소와 사진, 비밀번호를 받은 뒤 시세보다 크게 저렴한 가격으로 당근마켓에 광고를 게시했다. 대부분 대학교나 지하철역 인근의 접근성 좋은 투룸 오피스텔이나 빌라였으며, 매물 가격은 반전세로 보증금 2천만원∼3천만원에 월세 50만원∼60만원 수준이었다.
이들은 공인중개사나 집주인인 것처럼 위장해 매물에 관심을 보이는 사람들에게 “지금 바쁘니까 알아서 방을 보고 가라”며 비밀번호만 제공했다. 계약을 원하는 이들에게는 민간이 운영하는 전자계약 플랫폼으로 유도해 비대면으로 계약서를 작성하게 한 뒤 계약금 명목으로 1백만원∼2천만원을 입금받았다. 피해금은 대포통장으로 입금돼 코인 등으로 자금 세탁됐다고 한다.
경찰은 이들에게 허위 매물을 전한 이들에 대해서는 추적 중이다. 경찰 관계자는 “검거된 2명이 포함된 단체대화방을 보면 총책 1명과 상선으로 추정되는 3명이 포함돼 있어 추적 중”이라며 “이들을 검거해야 허위 매물과 출입문 비밀번호 획득 방법 등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파악된 피해자는 51명으로 대부분이 1990년대생∼2000년대생인 사회 초년생이었다. 피해 금액은 약 3억5천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경찰은 범행에 쓰인 휴대전화를 추가 포렌식하면 피해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이 사건 범행 수법이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다”며 “시세보다 대폭 저렴한 물건은 반드시 의심해보고, 공인중개사 사무소가 실제로 있는지 그리고 그 사무소에 있는 공인중개사가 내가 받은 명함의 인물과 동일한지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계약금을 입금할 때도 계좌 명의와 내가 임차하고자 하는 매물의 소유주 이름이 다르면 의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