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타임즈 = 이효주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센터 화재로 일부 금융 서비스에 차질을 빚은 가운데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가 긴급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하고 고객 불편 최소화 조치에 나서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금융은 29일 사고 직후 그룹 차원의 위기대응 협의체를 운영하고 전 계열사 서비스 현황을 실시간으로 점검하는 등 전사적 대응에 주력하고 있다.
KB금융은 주민등록증·모바일 신분증 진위확인과 해외 IP 차단 고객의 이체 거래, '국민지갑' 일부 서비스가 중단됨에 따라 양종희 회장이 참석해 비대면 비상대응회의체를 운영하며 계열사별 상황을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있다.
KB금융 관계자는 "은행, 증권, 손보, 카드, 캐피탈 등 각 계열사들은 IT부문 위기대응 매뉴얼에 따라 금요일 저녁 즉시 전산센터, 인프라, 금융서비스를 점검했다"고 설명했다.
신한금융은 그룹 리스크부문장(CRO) 주재 회의를 열어 은행·카드·증권·저축은행 등 주요 계열사와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주민등록증 진위확인 등 중단된 서비스 내용을 홈페이지와 앱에 공지하고,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대체 인증 수단을 안내했다. 영업점과 콜센터 보완 응대 방안을 마련했다. 외부 해킹 시도를 막기 위해 그룹 내 정보보안 비상체계를 강화하고 재해복구센터 가동 방안도 재점검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신한금융은 이번 사태 해결을 위해 금융당국 등 정부 관계 기관과 적극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하나금융도 그룹 차원에서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하고, CRO 주재 회의를 통해 전 계열사 영향도를 점검했다. 하나은행은 은행장 주재 '국정자원 대응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해 영업점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고 전 직원에게 안내사항을 배포했다. 그룹 ICT부문은 전산 체크리스트를 배포해 하나은행·증권·카드 등에서 선제 대응을 진행하고 그룹통합데이터센터 관리 체계도 긴급 점검했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발생으로 손님들의 불편이 확대되지 않도록 그룹 차원의 비상대응체계를 즉시 가동했다"고 밝혔다.
우리금융은 화재 직후 그룹 위기대응협의회를 중심으로 비상대응체계를 즉시 가동했다. 대체 신분증을 활용한 거래 지원과 함께 우리WON뱅킹 앱, 은행·증권·보험 홈페이지, 콜센터를 통한 고객 안내를 강화하고 있다. 전산 복구 지연에 대비해 영업점 보완 절차와 긴급 전산 개발을 마쳤다. 추가 지원 방안도 마련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고객 서비스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불편 최소화를 위해 전사적 대응을 이어가겠다"고 했다.
NH농협금융도 지난 26일부터 상황대응반을 가동해 비상근무 체계로 전환했다. NH농협은행은 전날 오후 수석부행장 주관 점검 회의를 열고 행정정보시스템 장애에 따른 사업 부문별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계획을 논의했다.
한편, 앞서 지난 26일 오후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주민등록증 진위여부 확인 등 신분 확인 결과와 행정기관 연계 금융 서비스, 우체국 연계 금융서비스 등에 대한 장애가 발생한 바 있다.